지방자치단체 공공데이터 기반 지역 상권 분석과 생활밀착형 리포트 작성 전략
지역을 보는 새로운 눈, 데이터로 상권을 이야기하다 ‘상권 분석’이라는 말은 흔히 창업을 앞둔 소상공인이나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여겨진다. 하지만 실제로 상권은 단순히 가게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 아니라, 지역의 생활, 이동, 소비, 문화, 사회적 흐름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공간 구조다. 이런 상권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선 감각이나 경험만으로는 부족하다. 정확한 수치와 구조화된 정보, 즉 공공데이터가 필요하다.지방자치단체는 각종 상권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공공데이터로 개방하고 있다. 지역별 상가 수, 업종별 분포, 유동 인구, 소비 패턴, 공실률, 창업·폐업률, 생활 인프라 접근성 등 다양한 항목이 있으며, 이 데이터는 단순히 상업적 목적이 아닌, 생활 밀착형 지역 진단과 정책 ..
2025.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