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공공데이터 기반 지역 노인 삶의 질 분석 및 고령친화도시 전략
우리 사회는 이제 ‘고령화 사회’를 지나 ‘초고령사회’에 도달하고 있다.2025년이면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이 되며,지방 중소도시는 이미 노인 인구 비율 30~40%를 넘는 지역도 다수 존재한다.그러나 인구통계가 바뀌었다고 해서, 도시의 구조가 자동으로 바뀌지는 않는다.노인의 삶은 단순히 건강과 소득만의 문제가 아니다.걷기 좋은 인도, 갈 수 있는 복지관, 쉴 수 있는 쉼터,소통할 수 있는 마을, 무리 없이 갈 수 있는 병원,한 끼를 챙겨 먹을 수 있는 식당이 있는지가 노후 삶의 품질을 결정짓는다.노인은 몸이 약해서 고립되는 것이 아니라,도시가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고립되는 것이다.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통계청,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자체 등은노인 인구 통계, 건강보험..
2025. 7. 17.
지방자치단체 공공데이터 - 청년 삶의 지역 편차 분석 및 균형정책 전략
청년은 흔히 ‘세대’로만 이야기된다. 하지만 오늘날 청년의 삶은 단지 나이로 정의되지 않는다.같은 나이의 청년도 서울에 사는가, 지방에 사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삶의 구조와 기회를 경험하고 있다.어떤 청년은 청년센터, 공유주택, 사회적경제 교육, 창업공간이 밀집된 지역에서연결되고 성장할 수 있지만, 어떤 청년은 공공정책의 그림자조차 보기 어려운 읍면지역에서자격증과 아르바이트를 반복하며 사회로의 진입로를 찾지 못한다.지방 청년이 수도권으로 떠나는 이유는 단지 취업 때문만이 아니다.일자리, 주거, 교통, 문화, 연애, 결혼, 가족계획까지 모든 구조가 수도권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는 현실이청년으로 하여금 ‘살 수 있는 곳’과 ‘머물 수 없는 곳’을 구분하게 만든다.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청년정책을 시행 중이지만..
2025. 7. 16.
지방자치단체 공공데이터 재난데이터기반 지역 재난대응 역량 분석 및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기후위기의 시대, 재난은 이제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일상의 일부가 되고 있다.매년 반복되는 폭우, 산사태, 지진, 폭염, 한파, 감염병, 화재 등은더 이상 뉴스 속에만 머무르지 않는다.하지만 어떤 지역은 피해가 크고, 어떤 지역은 빠르게 회복된다.이 차이는 재난의 강도보다 지역의 대응 구조, 인프라 상태, 대응 주체의 역량에 의해 결정된다.지역 재난 대응은 단순히 소방차나 비상문자만의 문제가 아니다.재난이 발생했을 때 주민이 어디로 이동할 수 있는지, 의료기관은 즉시 가동 가능한지,노인은 대피 경로를 아는지,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는 존재하는지,커뮤니티는 서로를 찾을 수 있는지와 같은 조건들이 재난의 피해를 결정짓는다.행정안전부, 소방청, 기상청, 지자체 등은재난발생 이력, 피해 규모, 재난 대응 시간, ..
2025.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