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아동복지 사각지대 파악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공공데이터 기반 조기경보체계 구축
대한민국은 복지 선진국 반열에 들어섰다는 평가를 받지만,아직도 복지의 첫 대상이 되어야 할 아이들이제도 밖, 보호 밖, 통계 밖에 존재한다.아동 방임, 학대, 결식, 주거불안 등은어떤 경우에도 ‘사후 대응’이 아니라 ‘사전 발견’이 핵심이어야 한다.하지만 현실은 다르다.지자체는 위기아동을 발견하기 위해 현장조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학교, 복지기관, 지자체 간 정보는 파편적으로 단절되어 있다.어느 날 한 아이가 학교에 나오지 않아 수소문한 끝에 발견된 후에야,복지체계는 늦게 작동하곤 한다.그러나 아이의 위험은 그보다 훨씬 앞서 데이터 속에서 이미 조용히 흔들리고 있다.예를 들어, 급식 결제 빈도가 떨어지고, 통신요금 미납이 누적되며,부모의 실업이 장기화되고, 병원 방문이 줄어든다.이것은 위기가 시작되었..
2025. 7. 27.
지방자치단체 공공데이터 기반 ‘생활물가 변동’ 모니터링을 통한 지역경제 대응
물가는 단순히 상품 가격의 합이 아니다.시민은 장을 볼 때, 오늘의 가격표만 보는 것이 아니라자신의 소득 대비 체감할 수 있는 ‘불안정성의 신호’를 함께 읽고 있다.이 때문에 실제 생활물가의 변동은 단지 경제지표가 아니라지역 주민의 정서, 소비패턴, 지역 경제 활력까지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문제는 국가 전체 소비자물가지수(CPI)가실제 생활 현장에서 체감하는 가격 변동성과 괴리가 있다는 점이다.예컨대 통계청이 발표하는 CPI는수백 개 품목의 평균값이기 때문에,농산물, 식자재, 공공요금, 주거비 등 생활에 직결되는 비용의 급등이묻혀버리는 경우가 많다.더욱이 서울이나 수도권, 대도시 중심의 물가지표는지방 소도시, 농어촌, 산업도시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따라서, 지역 맞춤형 생활물가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
2025. 7. 27.